농촌 활력 증진을 위한 새로운 시도..
아이고, 우리 손주들 잘 있었는가? 할매가 오늘 좋은 소식 하나 들고 왔어야.. 농식품부에서 농촌 일손도 돕고, 여행도 하고, 체험도 할 수 있는 '농촌일손여행'이라는 것을 23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대야.. 얼마나 기특한 일인지 몰라부러..
'일하고, 만나고, 즐기는' 특별한 경험이라니께..
이 '농촌일손여행'이라는 것이 말이여, 그냥 일만 하는 것이 아니여.. 농촌 일손 돕는 거랑, 여행이랑, 체험을 다 합쳐놓은 도시랑 농촌 교류 프로그램이여.. 올해는 서울대, 경북대, 충북대, 충남대, 전북대, 전남대 같은 국립대 농과대학 학생들이 참여한대.. 젊은이들이 팔 걷어붙이고 나서는 것이 참말로 보기 좋제.. 지난 22일 발대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니께..
이 프로그램의 핵심은 바로 이거여..
- 일하고(농작업): 힘들지만 보람 있는 농작업에 직접 참여하고..
- 만나고(지역 주민·로컬 청년): 농촌 어르신들이랑 젊은 농부들이랑 정을 나누고..
- 즐기는(농촌 관광·체험): 농촌의 아름다움도 보고, 특별한 체험도 즐기고..
우리 손주들은 농촌에 가본 적 있는가? 이런 기회에 한번 가보는 것도 참말로 좋겄제..
지속 가능한 농촌 관계 형성과 미래 활력에 대한 이야기여..
이번 '농촌일손여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여.. 요새 젊은 사람들이 여행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트렌드를 아주 잘 반영한 프로그램이라니께.. 농식품부에서는 이 사업이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미래 농촌을 이끌어갈 젊은이들이 많이 들어오는 데도 좋은 영향을 줄 거라고 기대하고 있대.. 특히, 참여하는 젊은이들이 농촌을 깊이 이해하고 농촌 주민들이랑 계속 교류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거라니께..
'시골친구'의 역할과 중요성이라니께..
이 프로그램에서 참말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농촌 주민들과의 정을 쌓는 것이여.. 그란디 이걸 위해서 각 지역마다 '시골친구'를 미리 뽑았대.. 이 '시골친구'들이 참여하는 대학생들이랑 교류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해줄 거라니께.. '시골친구'는 농촌 생활의 멘토도 되고, 동반자도 되어서 도시 젊은이들이 농촌의 삶이랑 문화를 더 가깝게 느끼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거여.. 이런 교류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래오래 가는 관계를 만드는 데 아주 중요한 기반이 된다니께.. 시골친구를 중심으로 농촌 일손 돕는 거랑, 농촌 관광이랑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여..
시골친구는 이런 역할을 한대요!
- 농촌 생활의 멘토가 되어 궁금한 것을 알려주고..
- 농촌 문화와 삶을 더 가깝게 느끼도록 돕고..
- 지속적인 교류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니께..
다채로운 참여 대학과 프로그램 예시도 있당께..
올해는 서울대, 경북대, 충북대, 충남대, 전북대, 전남대 같은 국립대 농과대학들이 참여할 예정이여.. 특히 충북대 같은 경우는, 농업법인회사 '뭐하농'의 이지현 대표를 시골친구로 삼아서 지역 허브·옥수수 농장 일손 돕는 활동에 직접 참여한대.. 젊은 농업인들의 농창업 특강도 듣고 배우고 교류도 하고, 다도 체험이랑 바비큐 파티도 하면서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꾸며졌대야.. 이거시 단순하게 일손만 돕는 것이 아니라, 농업의 소중함이랑 농민들의 수고를 직접 느껴보는 기회가 될 거라니께..
농식품부 박성우 농촌정책국장이 그랬어야, "농촌일손여행 사업은 단순한 여행이 아닌 여행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기획했다"고 말이여.. "이번 사업으로 대학생 청년들에게는 농촌주민과 지속해서 교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어야..
긍께 궁극적으로 '농촌일손여행'은 농촌의 고질적인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도시랑 농촌이 서로 이해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다방면으로 좋은 효과를 낼 거라니께.. 농촌이 계속 발전하고, 우리 젊은 세대에게도 더 매력적인 곳으로 거듭나는 데 아주 중요한 발걸음이 될 거여..
농촌과 청년의 상생을 위한 약속이여..
'농촌일손여행'은 농촌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우리 젊은이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주는 참말로 좋은 상생 프로그램이여.. 박성우 농촌정책국장도 그랬제, 이 사업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 가능한 관계를 만드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니께..
우리 손주들도 농촌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농촌 어르신들과 정을 나눌 준비가 되었는가? 농촌일손여행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보랑께!
자주 묻는 질문도 있당께..
- Q1. '농촌일손여행'은 어떤 사업인가요?
- A1.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농촌의 고질적인 일손 부족 문제도 해결하고 지역 경제도 살리고자 시작한 도시랑 농촌 교류 프로그램이여.. 농촌 일손 돕는 거랑, 농촌 여행이랑, 다양한 체험 활동을 다 합쳐서 농촌 관계 인구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니께..
- Q2.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
- A2. 올해는 서울대, 경북대, 충북대, 충남대, 전북대, 전남대 같은 국립대 농과대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되고 있대.. 참여하는 학생들이 농작업에 직접 참여하고, 지역 주민들이랑 젊은 농부들이랑 교류하면서 농촌 관광이랑 체험도 경험하게 될 거여..
- Q3. '시골친구'는 무엇인가요?
- A3. '시골친구'는 농식품부에서 농촌 관계 인구를 만들려고 각 지역마다 미리 뽑아놓은 분들이여.. 이분들이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농촌 주민들이랑 계속 관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교류의 중심 역할을 하고, 농촌 생활의 멘토도 되고 동반자도 되어준다니께..
- Q4. 이 사업의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 A4. 이 사업은 농촌 일손 부족도 해결하고, 농촌 경제도 살리고, 농촌 관계 인구도 만들고, 젊은이들이 농촌을 더 잘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대.. 또, 미래 농촌을 이끌어갈 젊은이들이 많이 들어와서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거라니께..